Breadcrumb

졸업성과 (10) 시기성과 (26) 0시기
학인문
1시기
기초의학
2시기
임상이론
3시기
임상실습
1. 기초의학 및 임상의학 지식을 토대로 환자의 문제를 분석할 수 있다.  1. 인체의 정상구조와 기능 및 발달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.   O O  
2. 주요 질병의 원인과 기전을 설명할 수 있다.    O O  
3. 임상증상과 징후에 대한 병력청취와 신체진찰을 할 수 있다.      O O
4. 적절한 검사와 진단 술기를 시행하고 결과를 해석할 수 있다.     O O
2. 과학적 근거와 임상정보를 바탕으로 환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.  5. 임상정보를 종합하여 가능한 진단명을 제시할 수 있다.      O O
6. 주요 질병에 대한 치료, 예방 및 관리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.     O O
7. 질병에 대한 기본 치료 술기를 시행할 수 있다.      O O
8. 환자안전 사고의 예방 및 대처 전략을 숙지하고 행동할 수 있다.      O O
9. 의무기록을 정확하고 적절하게 작성할 수 있다.        O
3. 의학적 문제해결에 필요한 연구를 과학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.   10. 과학적 사고를 통하여 의학적 문제를 찾아낼 수 있다.  O O O O
11. 의학적 문제해결에 필요한 의학연구를 연구윤리와 기준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.   O O O
4. 의학전문가로서 교육자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. 12. 환자 및 보호자에게 병의 진행, 진료과정, 예후 및 향후 관리방법 등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.       O
13. 질병의 예방과 건강증진을 위한 교육과 상담을 할 수 있다.  O O O O
5. 환자와 보호자의 고통과 어려움을 공감하며 의사 소통할 수 있다. 14. 환자 및 보호자의 심리와 행동반응을 이해하고, 경청과 공감에 기반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.  O O O O
15. 바람직한 환자-의사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.    O O  
6. 동료 의사 및 보건의료 종사자와 소통하고 협력할 수 있다. 16. 동료 의사 및 보건의료 종사자와 협력에 필요한 소통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.   O O O
17. 동료 의사 및 보건의료 종사자와의 갈등 상황을 해결할 수 있다.   O O O
7. 지역사회의 주요 보건의료문제를 진단하고,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.  18. 건강보건 문제에 있어서 지역사회의 역할 및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.      O O
19. 지역사회 건강문제에 대해 과학적인 접근을 통해 문제를 진단할 수 있다.      O O
8. 보건의료정책과 의료법규를 이해하고 미래의료 변화에 대응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. 20. 다양한 보건의료체계의 장단점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.       O  
21. 미래 의료 변화의 방향성을 예측하고 변화에 대응할 수 있다.      O  
22. 주요 의료법규에 대해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.        O
9. 생명의료윤리에 기반한 전인적 진료를 수행할 수 있다.  23. 생명의료윤리 기본 원칙들을 이해하고 제반 의료적 상황에 적용할 수 있다.  O O O O
24. 질병을 넘어 환자 중심의 전인적 진료를 실천한다.  O O O O
10. 평생학습자로서 의학전문직업성에 기초한 자기 관리 및 계발을 할 수 있다.   25. 평생 자기주도 학습을 통해 의학적 수월성 향상에 힘쓴다.   O O O O
26. 의학전문직업성에 기초한 자신의 역량 수준을 성찰하고 발전시킬 수 있다.  O O O O